목록전체 글 (142)
저항하는 것
어우야담 필사본에 언급된 박물지 내용을 찾다가 정리한 것입니다. ctext.org의 고금일사본(古今逸史本)을 기준으로 했습니다. 孔子東遊,見二小兒辯鬬,問其故,一小兒曰:「我以日始出時去,人近,而日中時遠也。」一小兒曰:「我以日出時遠而日中時近。」一小兒曰:「日初出時大如車葢,及日中時,如盤盂。此不爲遠者小而近者大乎!」一小兒曰:「日初出,滄滄涼涼;及其中,如探湯。此不爲近者熱而遠者涼乎!」孔子不能決,兩小兒笑曰:「孰謂汝多知乎!」亦出《列子》。周日用曰: “且當中向熱者, 炎氣直下也. 譬猶火氣直上而與㫄暑, 其炎涼可悉耳. 是明初出近而當中遠矣, 豈聖人肯對乎?”
유몽인(류몽인, 柳夢寅)이 지은 어우야담(於于野譚)은 1964년 발간된 만종재(萬宗齋)본이 나오기 전까지 여러 필사본이 전해졌습니다. 필사본 일부 내용 중에서는 만종재본 이외에 추가된 내용도 여럿 존재합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2022학년도 수능특강 한문I (링크) 106페이지에 실린 어우야담 필사본(일본 덴리대 보충본)의 해당 본문에 대하여 다룹니다. 한문 교과서 또는 한문 교재에서는 고문(古文)이나 한문 문장의 구체적인 출처를 밝히지 않거나(예: 논어 위정편의 思無邪가 나오는 구절의 출처를 『논어』로만 표시), 본문의 일부를 (중략), , …(중략)…, 중략(中略) 등으로 줄여버리기 때문에, 원문을 검색할 때 어려움이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곳에서라도 '중략'된 본문을 실어놓고자 합니다. 본문 余..
논란이 많아서 표준화가 제대로 안 잡힌 한국어문회 한자능력검정시험 자형 (왼쪽 및 가운데), 굴림/굴림체와 비굴림체 문제로 생긴 자형(glyph) 문제 (우측에서 네번째)
uniq -c를 이용하여 빈도를 카운트할 때 각 요소별로 분해하거나 값을 추출할 때 공백 때문에 불편한 점이 생길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sed로 사전에 불필요한 공백을 다음과 같이 제거한다. uniq -c file.src | sort -r -n -k 1,1 | sed -E 's/^\s+([0-9]+) /\1\t/g' > file.dst 출력 결과 예시 267 word # sort만 했을 경우 267 word# sed와 함께 사용했을 경우
Bash를 이용하여 iconv로 특정 인코딩을 변경하는 방법 (예: UHC에서 UTF-8로 변경) xargs도 사용해 보려고 하였지만, replacement symbol (-I{}에 해당하는 {})이 다중 파일에 대해서 적용이 안 되는 모양이다. find *.list -exec bash -c 'iconv -c -f uhc -t utf-8 {} > {}.out' \; 관련 링크 http://bahndal.egloos.com/577448 https://hyeonseok.com/soojung/dev/2016/06/27/796.html
윈도우 레지스트리 편집기 (Regedit)를 실행하여 다음과 같이 폰트 우선순위 (fallback 순위)를 변경한다. 레지스트리의 HKEY_LOCAL_MACHINE 키 값 변경사항을 반영하려면 시스템을 재시작하여야 한다. 폰트 우선순위 변경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FontLink\SystemLink 나눔고딕코딩 폰트의 한자 또는 외국어 모양을 바꾸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변경한다. 새로 만들기 > 다중 문자열 값 (M)을 선택한 뒤, 새 값 이름을 NanumGothicCoding으로 변경 (해당 키 값이 다중 문자열 값인 REG_MULTI_SZ로 되어 있는지 확인할 것) NanumGothicCoding 키 값을 더블..
개요 일상에서 쓰이는 단어들이나 문장들을 한문으로 옮길 때 (예: 뿌리깊은 나무 세종대왕 명대사, 야인시대 심영의 명대사 등) 사용하기 위해 정리하는 곳입니다. 모든 한자들은 두음법칙을 쓰는 한자를 배제하는 정규화 (regularization) 과정을 거치며, 한국식 한자에 준거하여 자형을 표기합니다. 전공 및 기술용어는 중국 대륙과 대만 용어들을 절충하여 사용합니다. 참고문헌 (in APA style) 南基卓. (2020). 古典 漢文의 理解 (제2판). 서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官話. (2020). In 維基大典. Retrieved July 10, 2020, from https://zh-classical.wikipedia.org/wiki/%E5%AE%98%E8%A9%B1 文言. (2020). In ..
유니코드의 한중일 통합한자 확장 B (CJK Unified Ideograph Extension B) 및 이후 영역에 있는 한자들 관련 네이버 지식인 링크를 첨부합니다. 편의상 훈은 띄어쓰기 없이 처리하였습니다. 해당 한자들은 아래아 한글 (한/글)이나 BabelMap (유니코드 입력기) 등을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습니다. (아니면 이곳에서도 복사해갈 수 있습니다) 답변들 중 일부는 오답이 섞여 있거나 적당한 한자를 찾지 못한 것도 있습니다. 의외로 대법원 인명용 한자(2018년 12월 4일 기준, 링크1의 [별표1] 및 [별표2], 링크2)나 인명용 한자 영역 바깥에 쓰이는 글자들도 보이는 모양입니다. 글자 중 깨지는 것들이 보이면, 하나조노 명조(HanaMinA, HanaMinB) 및 한중일 통합한자 ..
《논리야 놀자》의 "천자문과 만자문"에 나오는 천자문 대신 만자문을 배웠던 주인공 홍이가, 스님이 말한 아래 대사를 한문으로 옮기면 어떻게 될까 궁금해서 한 번 옮겨 보기로 하였다. 원문 "내가 이리로 오다 보니, 개똥지빠귀가 쥐며느리를 한 마리 잡아먹고, 비지똥을 뿌지직 싸고 날아가더구나. 자, 이 광경을 글로 적어 보거라." 한문 "我見來由此, 鶫食鼠姑, 簸豆粕糞咐直而飛矣. 請書此况."
bash의 sed를 이용하여 각 단어에 html 등의 태그를 다음과 같이 달 수 있다. 예) 단어1 단어2 단어3 -> 단어1 단어2 단어3 cat INPUT | sed -e 's/ / /g' -e 's/^//g' -e 's/$//g' -e 's/^$//g' > OUTPUT
예전에 GlyphWiki에서 Hanazono Mincho (하나조노 명조)를 바탕으로 한 글리프 완성본을 바탕으로, 유니코드 한중일 통합 한자 확장 C+D+E+F+G 글꼴 통합본을 하나의 폰트로 만들어서 사용해 보았습니다. 하지만 Hanazono (하나조노) 명조체 릴리즈가 2020년 7월 시점까지도 Unicode 13.0 한자가 반영된 한중일 통합 한자 확장 G를 포함한 새 버전 공개 소식이 없기에, 확장 G 부분을 블로그에 공개하려고 합니다. 현재 확장 G 한자는 대법원 인명용 한자 중 제대로 입력이 안 되었던 𰜩(⿰氵恩, 물이름 은, U+30729)을 지원합니다. 해당 폰트는 확장 C+D+E+F+G 부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배포는 자유이되 출처는 이곳으로 표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본 폰트는 SIL ..
원문 및 번역: https://liveandventure.com/2019/12/08/venturehuh/ (허생전 원문에 가필함. 본 글에서는 글쓴이의 저작 의도에 맞추어 한문 번역판과 주석만 제공합니다) 허생전 원문: https://leeza.tistory.com/2132 한문 표현이 아직 익숙치 않아 미흡한 부분이 있습니다. 부족한 부분은 댓글로 지적주시면 감사합니다. 許生居聖水洞. 直抵中浪川下. 過纛島聳咳園. 向漢城林. 鄙巷務廈. 不蔽工廠騷塵. 然許生好讀技誌. 妻爲人外包而受發部以糊口. 一日妻甚饑. 泣曰: "子平生不創業. 讀技誌何爲?" 許生笑曰: "吾習業型亦商模也未熟." 妻曰: "不有包發乎?" 生曰: "包發未素學奈何?" 妻曰: "不有網購乎?" 生曰: "購無本錢奈何?" 其妻恚且罵曰: "晝夜沈業型, 只學..
간체자에 대응하는 번체자는 일대다 대응이므로 이를 집합으로 나타내 보기로 한다. 집합 $ A_出 $는 出과 齣의 간체자 出를, $ \mathbb{I}_H $ 는 한중일(+월) 통합한자 문자셋에 있는 한자(Ideograph Hanja)를 의미한다. $$ A_出 = \{出 , \, 齣\} $$ $$ 齣 \! \in A_出 \ {\rm where} \, 齣 \! \in \mathbb{I}_H, \ \mathbb{I}_H \equiv \{一 , \, \cdots , \, 龥\} $$ 참고 KaTeX 예제 사용법 (https://katex.org/docs/browser.html) MathJax 예제 사용법 (https://pangtrue.tistory.com/113) MathJax CSS 정렬 (https://w..
한/글 (a.k.a. 아래아 한글)에서 기본으로 설치된 HFT 글꼴 에서 흔히 사용된 신명조체는, 다른 워드프로세서 (MS Word, Libre Office, Pages 등)와 호환되지 않는 관계로 어쩔 수 없이 다른 한자 글꼴을 사용하게 된다. 한자를 주로 사용하는 업무 환경에서 신명조체 때문에 생기는 차이로 인하여 한자 모양에 이의를 가끔씩 제기하는 사람들도 보이며 (예: 한국어문회를 비롯한 한자능력검정시험), 신명조체에 간체 및 약자(신자체)를 번체(정체, 구자체)로 매핑해 놓았기 때문에 중국어나 일본어를 나타낼 때 어려움이 생길 수 있다. 신명조체에서만 나타나는 한자 모양이 실제로 매핑된 한자 모양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는 예시 일부를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보았다. (왼쪽이 실제 매핑된 한자, 오른..
한문 기계번역 (MT) 배은한, 박용범, 허철. (2019). 한문고전 인공지능 번역 연구의 필요성과 선결 과제.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53, 39-54. 정성훈. (2019). 언어학과 기계 번역-한문학 텍스트의 기계 번역과 관련하여.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53, 7-38. 허철. (2018). 지식확산의 새로운 경로, 漢文 기계번역의 가능성과 구축 방향에 대한 일견. 민족문화, 51, 75-113. 한문학 김용태. (2019). 분단 이후 남한의 한문학 연구가 걸어온 길-민족주의 비판론에 대한 재검토를 중심으로-. 한국한문학연구, (76), 4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