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한문번역 (4)
저항하는 것
개요 일상에서 쓰이는 단어들이나 문장들을 한문으로 옮길 때 (예: 뿌리깊은 나무 세종대왕 명대사, 야인시대 심영의 명대사 등) 사용하기 위해 정리하는 곳입니다. 모든 한자들은 두음법칙을 쓰는 한자를 배제하는 정규화 (regularization) 과정을 거치며, 한국식 한자에 준거하여 자형을 표기합니다. 전공 및 기술용어는 중국 대륙과 대만 용어들을 절충하여 사용합니다. 참고문헌 (in APA style) 南基卓. (2020). 古典 漢文의 理解 (제2판). 서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官話. (2020). In 維基大典. Retrieved July 10, 2020, from https://zh-classical.wikipedia.org/wiki/%E5%AE%98%E8%A9%B1 文言. (2020). In ..
《논리야 놀자》의 "천자문과 만자문"에 나오는 천자문 대신 만자문을 배웠던 주인공 홍이가, 스님이 말한 아래 대사를 한문으로 옮기면 어떻게 될까 궁금해서 한 번 옮겨 보기로 하였다. 원문 "내가 이리로 오다 보니, 개똥지빠귀가 쥐며느리를 한 마리 잡아먹고, 비지똥을 뿌지직 싸고 날아가더구나. 자, 이 광경을 글로 적어 보거라." 한문 "我見來由此, 鶫食鼠姑, 簸豆粕糞咐直而飛矣. 請書此况."
원문 및 번역: https://liveandventure.com/2019/12/08/venturehuh/ (허생전 원문에 가필함. 본 글에서는 글쓴이의 저작 의도에 맞추어 한문 번역판과 주석만 제공합니다) 허생전 원문: https://leeza.tistory.com/2132 한문 표현이 아직 익숙치 않아 미흡한 부분이 있습니다. 부족한 부분은 댓글로 지적주시면 감사합니다. 許生居聖水洞. 直抵中浪川下. 過纛島聳咳園. 向漢城林. 鄙巷務廈. 不蔽工廠騷塵. 然許生好讀技誌. 妻爲人外包而受發部以糊口. 一日妻甚饑. 泣曰: "子平生不創業. 讀技誌何爲?" 許生笑曰: "吾習業型亦商模也未熟." 妻曰: "不有包發乎?" 生曰: "包發未素學奈何?" 妻曰: "不有網購乎?" 生曰: "購無本錢奈何?" 其妻恚且罵曰: "晝夜沈業型, 只學..
한문 기계번역 (MT) 배은한, 박용범, 허철. (2019). 한문고전 인공지능 번역 연구의 필요성과 선결 과제.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53, 39-54. 정성훈. (2019). 언어학과 기계 번역-한문학 텍스트의 기계 번역과 관련하여.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53, 7-38. 허철. (2018). 지식확산의 새로운 경로, 漢文 기계번역의 가능성과 구축 방향에 대한 일견. 민족문화, 51, 75-113. 한문학 김용태. (2019). 분단 이후 남한의 한문학 연구가 걸어온 길-민족주의 비판론에 대한 재검토를 중심으로-. 한국한문학연구, (76), 4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