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Others (5)
저항하는 것
간체자에 대응하는 번체자는 일대다 대응이므로 이를 집합으로 나타내 보기로 한다. 집합 $ A_出 $는 出과 齣의 간체자 出를, $ \mathbb{I}_H $ 는 한중일(+월) 통합한자 문자셋에 있는 한자(Ideograph Hanja)를 의미한다. $$ A_出 = \{出 , \, 齣\} $$ $$ 齣 \! \in A_出 \ {\rm where} \, 齣 \! \in \mathbb{I}_H, \ \mathbb{I}_H \equiv \{一 , \, \cdots , \, 龥\} $$ 참고 KaTeX 예제 사용법 (https://katex.org/docs/browser.html) MathJax 예제 사용법 (https://pangtrue.tistory.com/113) MathJax CSS 정렬 (https://w..
(원본 출처: http://9gag.com/gag/35612/)(2차 출처: http://www.geekosystem.com/how-to-draw-anime-characters/) 위 그림은 아시다시피 캐릭터 눈 크기가 점점 커지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이른바 '눈깔괴물'이라고 불리는 캐릭터들이 4~9번에 해당한다. 좀 더 쉽게 알 수 있을만한 척도를 나타내기 위해,아래와 같이 포토샵으로 끄적여 보았다. 여러분이라면 몇 번을 선택하시겠습니까? (6월 24일 추가)1번, 4번, 7번에 해당하는 작화.
구글링을 하다가 우연히 同姓同名探しと名前ランキング ( http://namaeranking.com ) 이라는 사이트에서 특이한 성씨들을 찾게 되었다. 그러던 중, 특정 지명의 성명 순위 랭킹이 나와 있는 것을 보고, 아무 지역이나 골라서 성씨 분포도(?)를 만들어 보기로 했다. 인명 수집은 아마도 일본의 전화번호부(NTT 등)에 실린 자료를 기준으로 작성한 것 같은데, 이러한 개인 정보는 저작권에 영향을 받지 않는 모양이다. 세대주다 보니 연령대가 젊으면 40대 안팎, 보통은 60~80대 정도가 될 것 같다. (이름을 봐도 대체로 일본의 할아버지나 할머니들이 쓰는 것들이니) 요새 들어 픽션에서 타카나시(小鳥遊、たかなし)를 너무 남발하는 바람에, 실제 타카나시 성씨보다 훨씬 더 많이 집계되는 것 같아서 실제..
확실히 纐纈나 躑躅같은 경우, 약자가 없기 때문에 막무가내로 쓸 수밖에 없다. 중국 같으면 간화가 가능할 수도 있겠지만. *纐纈(こうけつ): 홀치기 염색. こうけち로도 읽는다. *躑躅(つつじ): 철쭉. 보통 히라가나로 자주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