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7차교육과정 (2)
저항하는 것
중등 교육 한문 교과에서는 다른 일반 교과와 언어 교과에서 찾아볼 수 없는 아래 구절이 등장한다. 선인들의 삶과 지혜를 이해하고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하며, 전통문화를 바르게 이해하고 창조적으로 계승 발전시키려는 태도를 지닌다.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 / 교육과학기술부, 2009년 개정 교육과정 / 교육인적자원부,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선인들의 삶과 지혜를 이해하고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한다. (교육부, 제7차 교육과정) 먼저 ‘건전한 가치관’에 대하여 알아보자. ‘건전한’이라는 기준은 1)유교적 기준(주자학 이외에 사문난적으로 분류되는 기준에 따른 것)에서인지, 2)전근대적 시대(고려, 개화기 이전 조선)의 관습을 기준으로 한 것인지, 아니면 3)현대인이 갖..

도서관에서 7차 교육과정 초기 교과서들을 접할 기회가 생겨서 한문 교과서에 나오는 해서체들의 자형을 비교해 보았습니다. 본 포스트는 과거의 포스트를 되돌아볼 겸 한국 한자의 표준 자형 부재로 인한 각종 변형 해서체들을 정리하는 목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한국고전번역원의 2015년 연구보고서(한자자형 정리 및 표준화 방안 연구)에서는 한국의 표준 자형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습니다. 연구를 통해 알아본 바와 같이 중국과 대만, 일본 등은 국가에서 자형에 대한 책임을 지고 제정하여 사용하고 있다. 특히 간화자와 표준자체, 상용한자 등 나름의 정자를 부르는 명칭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의 경우 국가에서 정한 표준자형이 존재치 않고 대부분 민간에서 이를 제작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로 인해 자형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