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한자와 한문 (21)
저항하는 것

주로 사용되는 용어들을 한문으로 나타내기한국어한문 (고전 중국어/문언문/고문)플랑크 상수普氏數플랑크 상수는 $ 6.626 070 15 \times 10^{-34} \textrm{J} \cdot \textrm{s} $ 이다.普氏數等六點六二六零七零一五積十冪陰三四焦耳秒也。
은 없습니다. 특정 유저를 낚기 위한 것.
수학기호 x, y, z, a, b, c, d는 각각 天, 地, 人, 甲, 乙, 丙, 丁에 해당합니다.이에 따라 "爲A所B"와 같이 한문과 알파벳이 기괴하게 섞여 있을 경우에는"爲甲所乙 = A가 B하다"로 풀어쓸 수 있습니다.마찬가지로 적분을 정의하는 식도 아래 한문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식은 표점이나 구두점 없이 한 단위로 풀어씁니다.한문: 積分者, 函天等於積自甲至乙函天微天也.뜻: $$ f(x) = \displaystyle \int _{a}^{b}f(x)dx $$P.S. Alpha-traveler, baundy를 위시한 매크로(https://gold-goose.tistory.com/)는 사절입니다.
중등 교육 한문 교과에서는 다른 일반 교과와 언어 교과에서 찾아볼 수 없는 아래 구절이 등장한다. 선인들의 삶과 지혜를 이해하고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하며, 전통문화를 바르게 이해하고 창조적으로 계승 발전시키려는 태도를 지닌다.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 / 교육과학기술부, 2009년 개정 교육과정 / 교육인적자원부,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선인들의 삶과 지혜를 이해하고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한다. (교육부, 제7차 교육과정) 먼저 ‘건전한 가치관’에 대하여 알아보자. ‘건전한’이라는 기준은 1)유교적 기준(주자학 이외에 사문난적으로 분류되는 기준에 따른 것)에서인지, 2)전근대적 시대(고려, 개화기 이전 조선)의 관습을 기준으로 한 것인지, 아니면 3)현대인이 갖..
한문교육용 기초한자는 1972년 8월 16일 문교부에서 1,800자가 공표된 이래, 2000년 12월 30일 44자를 조정한 이후 2021년 현재까지 한자 범위가 바뀌지 않고 50여년 가까이 쓰이고 있다. 이 때문에 1,800자를 초과하는 한자들을 처리하기 위하여 여러 조정안들이 국문학, 한문학, 한의학 등에서 이루어져 왔다. 참고 문헌 金永玉 (2015)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표준 字形 제정에 관한 연구." 漢文敎育硏究, (44), 189-226. 손유경 (2021) "한시 학습 차원에서 한문교육용 기초한자의 조정 방향에 대한 제언 -『東文選』 소재 漢詩를 비교 대상으로 하여-". 漢文古典硏究, 42, 385-415. 허철 (2008). 한문교과교육에서 한문교육용한자 선정을 위한 기초연구. 東方漢文..

들어가기에 앞서 한국은 한자 표준자형이 지정되지 않을 뿐 아니라, 한문교육용 기초한자를 근 50여년 넘게 큰 틀을 고치지 않고 거의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나라 중 하나에 속한다. 이에 대하여 金永玉(2015)은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 요컨대, 한국의 경우 2000년 이후 한자 표준 자형에 대한 인식 및 그와 관련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에서 사용 중인 한자 전반에 대한 국가적인 차원의 표준 자형이 아직 제시되지 않았으므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우선 ‘한문교육용 기초한자’를 대상으로 각 한자에 대한 표준 자형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뿐만 아니라 박석홍 외(2015)도 마찬가지로 다음과 같이 서술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 국가에서 정한 표준자형이 존재치 않고 대부분 민간에서 이를 제작하여 사용..

출처: 高二生用文言书写应战书,【盘点】9篇文言文高考作文!_网易订阅 (163.com) 중국의 어느 고등학교에서 반 대항으로 올린 문언문입니다. 吾班與貴班本脣齒相依, 一衣帶水, 本當互通有無, 永結盟好. 奈何汝等破盟誓, 絶友交, 誠爲吾班所不齒. 兵法云: "上兵伐謀, 其次伐兵." 爾等犯此大忌, 本應偃旗息鼓, 孰料竟發文宣戰, 汝等欲以卵擊石者乎? 吾班乃天朝上班, 人傑地靈, 俊采星馳, 吾之威名, 一中盡知. 然吾師以仁厚治班, 泱泱大班秉厚德載物之信念, 崇先禮而後兵, 可笑汝塵埃螻蟻之輩. 竟欲班門弄斧, 蚍蜉撼大樹, 豈不貽笑大方當此之時, 三班氣勢恢弘, 衆志成城, 吾擊汝, 所響披靡, 談笑間檣櫓灰飛烟滅. 敢問: 汝能當否? 敢應戰否? 願爾等順應天命, 速速歸降. 吾仁義爲上, 不咎旣往. 休要執迷不悟, 負隅頑抗. 今臨表使聞, 吾班宣曰: ..

출처: 钢铁侠被写进卷子里,还是文言文!点开前以为恶搞,看完震撼全家_全文 (sohu.com) 더보기 인(殷) 모씨가 작성한 아이언맨 문언문(文言文) 가오카오(高考) 스타일 문장입니다. 원문은 간체로 되어 있으나 이미지로 되어 있는 관계로 키보드로 옮길 때 번체를 사용했습니다. 托尼早孤, 銳志好學. 其父霍華德在時, 嘗以其寄庠序, 尼不知其父有志於國, 謂其漠己. 公論曰, 愈惡一人愈如其人. 尼旣弱冠, 盡能襲承父業. 造鈦金甲胄匿其內, 千里不留行, 顯達一時, 見用於兵部. 嘗有一姝, 別號小辣椒, 其德婉貞, 淑賢. 詩經有言, 何彼襛矣, 華若桃李, 庶幾謂之. 二人相知, 卿卿我我, 尼旣知世間有愛, 遂宥其父, 誓曰, 孰弑吾親, 必手刃之. 嘗有路人問之, 人其謂汝"奪命奸賈", 汝如何言? 尼對曰, 吾制鎧仗弓弩, 皆爲治道, 以暴易暴, ..
고문진보(古文眞寶)는 송나라 때 황견이 지었다고 하고, 중국에서 조선과 일본으로 수출하여 조선에서 한문교재로 사용한 문장집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고문관지(古文觀止)는 청나라 때 오초재와 오조후가 한문 학습교재로 명문장을 엄선하여 만든 책으로, 중국에서는 고문진보를 몰라도 고문관지는 한문(문언문)을 배우기 위한 교재로 인식하고 있는 실정이다. 고문진보는 전집과 후집으로 나뉘어 있고, 전집은 한시(주로 고시), 후집은 문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고문관지는 문장으로 이루어져 있고 주문(周文)부터 명문(明文)까지 시대별로 분류하고 있다. 세부를 뜯어 보면 저자명 표기에서도 차이를 보이는데, 고문진보에서는 도연명이나 이태백처럼 이름과 자·호를 혼용한 것이 고문관지에서는 도잠, 이백처럼 이름으로 표기한 것을 볼 수..
오체자류(五體字類)는 일본에서 호쇼카이(法書會)에서 편찬한 1916년도 책으로, 타카다 타다치카(高田忠周)와 고토 아사타로(後藤朝太郎)가 자형을 교정하고, 진서(해서)·행서·초서를 주안에 두며 전서·예서를 부가로 추가한 글자 사전입니다. 서문은 당시 문학박사인 오오츠키 후미히코(大槻文彦)가 카에리텐(帰り点)이 붙은 한문으로 썼습니다. 대체로 중국 역대 서예나 작품에 나오는 글자들을 발췌하였으며, 예서는 고남원(顧南原)의 서체를, 전서는 서현(徐鉉)의 설문(說文)을 레퍼런스로 삼았습니다. 이 때문에 중간에 해서에 해당하는 예서 또는 전서 글자체가 없는 경우도 간혹 존재합니다. 한국에서는 1983년 명문당에서 김성원씨가 일본어 원본을 편역한 것으로 (링크), 1916년판에 있는 한자의 6가지 의해(六義解)를..
어우야담 필사본에 언급된 박물지 내용을 찾다가 정리한 것입니다. ctext.org의 고금일사본(古今逸史本)을 기준으로 했습니다. 孔子東遊,見二小兒辯鬬,問其故,一小兒曰:「我以日始出時去,人近,而日中時遠也。」一小兒曰:「我以日出時遠而日中時近。」一小兒曰:「日初出時大如車葢,及日中時,如盤盂。此不爲遠者小而近者大乎!」一小兒曰:「日初出,滄滄涼涼;及其中,如探湯。此不爲近者熱而遠者涼乎!」孔子不能決,兩小兒笑曰:「孰謂汝多知乎!」亦出《列子》。周日用曰: “且當中向熱者, 炎氣直下也. 譬猶火氣直上而與㫄暑, 其炎涼可悉耳. 是明初出近而當中遠矣, 豈聖人肯對乎?”
유몽인(류몽인, 柳夢寅)이 지은 어우야담(於于野譚)은 1964년 발간된 만종재(萬宗齋)본이 나오기 전까지 여러 필사본이 전해졌습니다. 필사본 일부 내용 중에서는 만종재본 이외에 추가된 내용도 여럿 존재합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2022학년도 수능특강 한문I (링크) 106페이지에 실린 어우야담 필사본(일본 덴리대 보충본)의 해당 본문에 대하여 다룹니다. 한문 교과서 또는 한문 교재에서는 고문(古文)이나 한문 문장의 구체적인 출처를 밝히지 않거나(예: 논어 위정편의 思無邪가 나오는 구절의 출처를 『논어』로만 표시), 본문의 일부를 (중략), , …(중략)…, 중략(中略) 등으로 줄여버리기 때문에, 원문을 검색할 때 어려움이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곳에서라도 '중략'된 본문을 실어놓고자 합니다. 본문 余..
개요 일상에서 쓰이는 단어들이나 문장들을 한문으로 옮길 때 (예: 뿌리깊은 나무 세종대왕 명대사, 야인시대 심영의 명대사 등) 사용하기 위해 정리하는 곳입니다. 모든 한자들은 두음법칙을 쓰는 한자를 배제하는 정규화 (regularization) 과정을 거치며, 한국식 한자에 준거하여 자형을 표기합니다. 전공 및 기술용어는 중국 대륙과 대만 용어들을 절충하여 사용합니다. 참고문헌 (in APA style) 南基卓. (2020). 古典 漢文의 理解 (제2판). 서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官話. (2020). In 維基大典. Retrieved July 10, 2020, from https://zh-classical.wikipedia.org/wiki/%E5%AE%98%E8%A9%B1 文言. (2020). In ..
유니코드의 한중일 통합한자 확장 B (CJK Unified Ideograph Extension B) 및 이후 영역에 있는 한자들 관련 네이버 지식인 링크를 첨부합니다. 편의상 훈은 띄어쓰기 없이 처리하였습니다. 해당 한자들은 아래아 한글 (한/글)이나 BabelMap (유니코드 입력기) 등을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습니다. (아니면 이곳에서도 복사해갈 수 있습니다) 답변들 중 일부는 오답이 섞여 있거나 적당한 한자를 찾지 못한 것도 있습니다. 의외로 대법원 인명용 한자(2018년 12월 4일 기준, 링크1의 [별표1] 및 [별표2], 링크2)나 인명용 한자 영역 바깥에 쓰이는 글자들도 보이는 모양입니다. 글자 중 깨지는 것들이 보이면, 하나조노 명조(HanaMinA, HanaMinB) 및 한중일 통합한자 ..
원문 및 번역: https://liveandventure.com/2019/12/08/venturehuh/ (허생전 원문에 가필함. 본 글에서는 글쓴이의 저작 의도에 맞추어 한문 번역판과 주석만 제공합니다) 허생전 원문: https://leeza.tistory.com/2132 한문 표현이 아직 익숙치 않아 미흡한 부분이 있습니다. 부족한 부분은 댓글로 지적주시면 감사합니다. 許生居聖水洞. 直抵中浪川下. 過纛島聳咳園. 向漢城林. 鄙巷務廈. 不蔽工廠騷塵. 然許生好讀技誌. 妻爲人外包而受發部以糊口. 一日妻甚饑. 泣曰: "子平生不創業. 讀技誌何爲?" 許生笑曰: "吾習業型亦商模也未熟." 妻曰: "不有包發乎?" 生曰: "包發未素學奈何?" 妻曰: "不有網購乎?" 生曰: "購無本錢奈何?" 其妻恚且罵曰: "晝夜沈業型, 只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