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항하는 것
EBS 수능특강 한문I의 어우야담 필사본(일본 덴리대 보충본) 본문 본문
유몽인(류몽인, 柳夢寅)이 지은 어우야담(於于野譚)은 1964년 발간된 만종재(萬宗齋)본이 나오기 전까지 여러 필사본이 전해졌습니다. 필사본 일부 내용 중에서는 만종재본 이외에 추가된 내용도 여럿 존재합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2022학년도 수능특강 한문I (링크) 106페이지에 실린 어우야담 필사본(일본 덴리대 보충본)의 해당 본문에 대하여 다룹니다. 한문 교과서 또는 한문 교재에서는 고문(古文)이나 한문 문장의 구체적인 출처를 밝히지 않거나(예: 논어 위정편의 思無邪가 나오는 구절의 출처를 『논어』로만 표시), 본문의 일부를 (중략), <중략>, …(중략)…, 중략(中略) 등으로 줄여버리기 때문에, 원문을 검색할 때 어려움이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곳에서라도 '중략'된 본문을 실어놓고자 합니다.
본문
余觀『博物誌』, 有一乞翁, 挈穉子, 負襁行道, 夏月澣褐, 江邊曝之, 收而負, 日熟 1眼暗, 困睡于道傍樹陰. 有蚊嘬乞翁之禿頭, 其子大怒曰: “爾何血我禿翁?” 荷大杖擊之, 蚊飛去, 其翁卽斃. 後人有詩曰: “寧爲智者讐, 無爲愚者親.” 2
近世有田舍人, 亦當夏月之夕, 加足於門櫳之上, 仍着睡矣. 有蛇入盤于褌中不出, 覺而料之, 則難免矣. 側臥十歲幼子, 攬睡而問之曰: “此將奈何?” 兒捷起附耳曰: “潛臥勿動.” 卽出井甃間, 得一蛙而來, 觸柱聲出, 蛇聞之, 叙身脩然而出, 遂得免害. 3
噫! 人一也, 童亦一也. 荷杖之愚, 捕蛙之智, 何其懸殊之如天壤也! 非但兒之賢不肖, 亦關運於爲其爺之有彼子有是子也歟.
(신익철 (2005)의 476쪽 및 477쪽에서 발췌)
참고자료: 유몽인이 읽었던 박물지 원문 (가능성이 있는 내용들)
ctext.org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입력본에서 고금일사본과 대조하면서 확인하였습니다.
方士 (원문)
近魏明帝時,河東有焦生者,裸而不衣,處火不燋,入水不凍。杜恕爲太守,親所呼見,皆有實事。周日用曰:焦孝然邊河居一菴,大雪,菴倒,人已為死,而視之,蒸氣於雪,略無變色。時或折薪惠人而已,故《魏書》云:“自羲皇以來,一人而已。”
辯方士 (원문)
漢淮南王謀反被誅,亦云得道輕舉。周日用曰:《漢書》云:淮南自刑,應不然乎?得道輕舉,非虗事也。至今維陽境內,馬迹猶存。且日與成公同處,皆上品真人耳。旣談道德,肯圖叛逆之事?況恒行陰旨,好書藝,不善弋獵,《淮南內書》言神仙黃白之術,去反事遠矣。夫古今書傳多黜仙道者,慮帝王公侯廢萬機,而慕其道,故隱而不書,唯老聃不可掩而云,三 4百歲後,西遊流沙,不知所云 5。庾書云,蜀有女道士謝自然,白日上升,此外歷代史籍未嘗言也。 6
鉤弋夫人被殺於雲陽,而言尸解柩空。周日用曰:史云,夫人被大風拔樹,揚沙揭石,亦不云尸解柩空。
文帝《典論》云:議郎李覃學郄儉辟穀食茯苓,飲水中不寒,洩痢殆至殞命。軍祭酒弘農董芬學甘始鴟視狼顧,呼吸吐納,爲之過差,氣閉不通,良久乃蘇。寺人嚴峻就左慈學補導之術,閹竪真無事於斯,而逐聲若此。
又云,王仲統云:甘始、左元放、東郭延年,行容成御婦人法,並爲丞相所錄。間行其術,亦得其驗。降就道士劉景受雲母九子元方,年三百歲,莫之所在。武帝恒御此藥,亦云有驗。劉德治淮南王獄,得《枕中鴻寶秘書》,及子向咸而奇之。信黃白之術可成,謂神仙之道可致,卒亦無驗,乃以罹罪也。周日用曰:神仙之道,學之匪一朝一夕而可得。黃白者也,仍須有分,昇騰者應須有骨,安可偶然而得効也?
劉根不覺饑渴,或謂能忍盈虗。王仲都當盛夏之月,十罏火炙之不熱;當嚴冬之時,裸之而不寒。恒山君以為性耐寒暑,恒山以為無仙道,好奇者為之。前者已述焉。
司馬遷云:無堯以天下讓許由事。揚雄亦云:誇大者爲之。揚雄又云:無仙道。桓譚亦同。
(장화(張華), 박물지(博物誌) 고금일사(古今逸史)본 권5)
관련 후기
본문에 실린 문장을 인터넷에 검색해 보면 극히 일부의 내용이 '중략'된 본문만 존재합니다. 이 때문에 전체 내용을 찾기 위하여 도서관에서 구할 수 있는 만종재본(1964)과 한국문화사 역본(2004)(링크)을 살펴보았으나 찾지 못하였고, 대신 KCI에 실린 2005년 논문에서 언급된 40화 분량의 추가분에서 해당 문장을 발견하였습니다.
참고문헌
신익철. (2005). 새롭게 발굴된 어우야담(於于野譚)40화. 민족문학사연구, 28, 426-485. KCI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