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항하는 것
해경당수초 제황매천문(祭黃梅泉文) 안중근전(安重根傳) (작성중) 본문
해경당수초 영인본 중, 제황매천문에 실린 안중근전 원문 내용입니다.
한문 교과서 및 한문 교재에서는 일부 내용만 공개되어 있기에 원문을 직접 입력하였습니다. 생략된 내용은 주로 안중근의 생애 및 거사 직전의 상황, 재판과정에서 오고간 변론 등을 다루고 있습니다.
(德順·道先 1相與謀殺伊藤 2是夜, 重根在旅舍, 慷慨作歌曰: "丈夫處世兮, 其志必奇. 時造英雄兮, 英雄造時. 雄視天下兮, 大業可期? 東風漸寒兮, 必成功業. 鼠賊窺窺兮豈料自及? 萬歲萬歲兮大韓獨立." 德順亦以俚歌 3和之. 明日, 重根與德順·道先同至寬城子 4. 探伊藤來信報, 云: "明日伊藤至哈爾濱 5." 重根懷短槍 6, 詣車站. 立俄軍隊後, 重根着洋服. 俄軍認爲日本人, 莫知爲我人也. 伊藤下車日本官吏駐, 俄者歡迎甚衆. 伊藤與俄大藏大臣握手作禮, 畢徐步向各國領事館. 與重根相去, 未十步,) 7重根이 素不見伊藤이나 惟嘗見其小像하고 竊識之라. 乃披軍隊而前하여 擧槍射之三發하니 皆中伊藤胸腹하여 伊藤遂死라. 重根이 見伊藤倒地하고 擧手大呼 '大韓萬歲'러라. (伊藤隨員三人, 亦被殺像, 俄巡兵捕縛重根. 重根笑曰: "我豈逃者哉?" 被囚于俄裁判所, 月餘日本人移囚于旅順所在日本法院. 始日本之奪, 我國權也宣言於西洋諸國. 以爲韓人感悅日本保護至是, 恐各國有嘖言, 令法院長真鍋, 使人誘重根自言謬解, 曰: "子未喩伊藤公 8施於韓國, 皆爲韓生民之福, 子不喩, 故害之耳. 今子以謬解自首日本政府, 必釋子保無他也." 重根笑曰: "好生惡死, 人之情也. 然吾若欲苟活, 何若爲是哉? 說者, '色沮而退明, 日復誘百端.'" 重根叱退之. 十二月, 真鍋開公判, 我國·中國及西洋人會觀者數百人. 重根弟定根·恭根, 以將有公判, 嘗請律師 9辯護於真鍋. 真鍋慮他國辯護士之直重根, 然又重違. 各國之律例, 陽許之. 於是, 我人之住美利堅 10及海蔘葳 11者, 募金七千, 請辯護士於西洋英吉利 12律師德雷司 13, 俄律師米罕依洛夫 14等, 相繼而來. 韓律師義州安秉瓚亦慷慨, 自薦而至真鍋, 諉以不通日本語, 推之獨用. 日本律師 15爲辯護, 引出重根于庭. 重根神彩堂堂, 以手橫交胸間. 真鍋問: "若何爲害我伊藤公?" 重根徐答曰: "苟欲恢復韓國獨立, 必先除伊藤老賊. 然後, 乃可圖也. 我旣決心爲國家獻身, 出游海外, 游說我民族. 皷 16起忠義之心, 募壯士爲兵, 敎育幼年, 爲後補以圖大事. 今安重根自以參謨中, 將獲斬伊藤老賊. 今此法庭引出, 亦應以戰爭被虜, 認證不當以刺客問我辭氣盖壯." 真鍋曰: "伊藤公實奉天皇陛下命令, 撫綏爾國民. 汝豈不知伊藤公意耶?" 重根忽仰首, 厲聲曰: "曩者, 日俄之戰 17, 日本皇帝詔勅有, 曰: '扶植韓國獨立維持東洋平和, 我韓人民用是感激, 心祝日軍勝利. 治道路軍兵, 餉殫竭心膂, 不以爲勞, 及日軍凱旋, 韓人歡喜相賀, 曰'(내용 작성중...)' 18
三月二十六日[陰二月十六日], 絞殺之時, 年三十二, 有二子. 宣罪之日, 二弟訣重根, 重根曰: "我死, 勿埋於日本所監之土, 可埋於哈爾濱公園之傍." 二弟欲如其言, 日本人不許, 使葬獄內地.) 重根이 在獄中에 作東洋平和論數萬言하고 又吟詩以自遣이라. 至死之日하여 脫洋裝하고 改着韓製衣하여 就刑하니 談笑如平日이러라. (德雷司語安秉瓚曰: "吾閱天下死形多矣, 未嘗見如此烈士. 吾歸當爲天下誦之日本人, 榻重根像刻, 其書賣之天下人, 爭購爲寶. 德順·道先亦皆被逮, 德順頗激仰不屈處, 監禁三年之律. 旣而移囚韓咸興尋, 自殺或言逃免繼. 而有李在明·安明根之事."
참고 자료
이건승 저, 정양완 엮음, 『해경당수초』, 월인(2012), 351-359쪽.
- 우덕순(禹德順, 1876~1950) (참고) [본문으로]
- 조도선(曺道先, 1879~?) (참고) [본문으로]
-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본문으로]
- '속된' 말로 지은 노래, 즉 한글로 된 노래. [본문으로]
- 현재 지린성(吉林省) 창춘시(长春市) 콴청구(宽城区) [본문으로]
- 하얼빈(哈尔滨) [본문으로]
- 권총을 뜻하며, 총은 근대 이후로 槍(또는 鎗)으로 쓰이고 있다. [본문으로]
- 마나베 주조(真鍋十蔵). 원본 및 일본 인명을 참고하여 일본 한자로 표기함 [본문으로]
- 당시 이토 히로부미가 공작(公爵) 작위를 얻은 상태라서 '일본인 성+작위'로 호칭함 [본문으로]
- 변호사. 현대중국어에서도 동일한 단어(律师)로 쓰임 [본문으로]
- 아메리카(미국). 영어 American에서 a 발음이 탈락한 것을 중국어 근대 발음으로 음차 [본문으로]
- 블라디보스토크의 옛이름 [본문으로]
- 잉글랜드(영국). 중국어 근대 발음으로 음차 [본문으로]
- 더글러스(J.E.Douglas)의 음차 [본문으로]
- 미하일로프의 음차 [본문으로]
- 미즈노 기치타로(水野吉太郎)를 말함 [본문으로]
- 鼓의 이체자 [본문으로]
- 러일전쟁을 말함 [본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