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항하는 것
한자 관련 문헌 본문
인용 양식은 APA 스타일에 기반하였습니다. (개인적으론 IEEE 스타일 인용을 선호합니다)
가나다순 정렬이되 ibis는 underline 8글자를 사용함. 국한문혼용은 안 좋아합니다.
한자음 issues
곽예. (2018). 한중 현대 한자음의 대응에 대한 연구. 한국학연구, 48, 431-458.
김태경. (2002). 『廣韻』의 反切音과 『全韻玉篇』ㆍ『三韻聲彙』의 한자음 비교. 중국어문학논집, (19), 213-240.
金泰慶. (2009). 曉ㆍ匣母字와 日母字의 상고음. 중국어문학논집, (58), 97-119.
이장환. (2002). 한자 106 운과 상용한자 장단음 분류. 동양예학, 8(0), 225-264.
최미현. (2016). 한자능력검정시험 교재의 특이 복수 한자음 연구. 우리말연구, (45), 119-146.
________. (2017). 현대 자전류의 한자음 반영 양상 ―반절과 한자음의 대응 관계를 중심으로―. 우리말연구, (51), 29-51.
한자 표준 issues
金永玉. (201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와 한문 교과서의 字形 비교 연구. 동아한학연구, (7), 159-206.
김영옥. (201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의 字形 연구 - 『康熙字典』 자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漢文敎育硏究, (37), 541-588.
________. (2012).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字形 확정 기준 및 字形 수정 양상. 漢文古典硏究, 24(1), 405-429.
________. (2013). 한자문화권 국가의 한자 표준 자형 선정 기준 고찰. 漢文古典硏究, 26(1), 267-292.
________. (2015).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표준 字形 제정에 관한 연구. 漢文敎育硏究, (44), 189-226.
金俊秀 (2012). 皀旁과 辵旁의 字體修正에 대한 建議. 中國言語硏究. (42), 159-183
朴鍾寓. (2005). 國際 標準 漢字의 異體字 硏究. 동아한학연구, (1), 109-125.
박추현. (2010). 한자 해서체 자형에 나타나는 자소의 변이형태 小考. 南冥學硏究, (29), 435-468.
배은한 외. (2016). "한국 한자음 표준화 방안 연구". 한국고전번역원
李景遠. (2010). 우리나라 漢籍 자료에 나타난 異體字의 樣相과 偏旁 變異 規律에 대한 연구. 중국어문논역총간, 27, 97-122.
李圭甲. (2013). 楷書所見偏旁附加異體字考. 중어중문학, 56, 501-524.
조성덕. (2018). ‘인명용 한자’ 자형 및 자음 표준화 방안 연구. 동방한문학, (76), 289-318.
채한 외. (2010). 한의학 입문을 위한 필수한자 추출 및 분석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4(3), 373-379.
허철. (2012). 漢字敎育에 있어서 字源 서술 내용 표준화(standardization) 必要性과 方案 摸索. 동아한학연구, (8), 167-196.
황상문 외. (2011). 한의학 교육을 위한 필수한자 추출 및 분석연구.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4(5), 147-158.
한자 전산화 issues
김기왕. (2019). 고문헌 벽자(僻字) 입력을 위한 한자 자형 부호화 방법.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32(1), 105-116.
김정수. (1989). 한자 자료의 전산화를 위해서 새김의 표준화를 제안함.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 학술발표 논문집, 107-113.
이남희 (2010). 고문헌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과 한자 처리 문제. 영남학, (17), 265-295.
이인교 외. (1989). 한글 · 한자 처리 방식의 표준화에 관한 연구.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2-17.
이정현. (2012). 유니코드 한자 검색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NIA] 정보화정책, 19(3), 50-63.
許喆. (2016). 고전적(古典籍) 전산화에서 말뭉치 언어학 적용의 필요성과 방향에 대한 일견. 민족문화, 47, 277-314.
국한문혼용 issues
남기춘 외. (1997). 한글 전용과 국한 혼용의 언어 심리학적 고찰(Ⅰ).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 학술발표 논문집, (9), 469-476.
南基卓. (2014). 語文運動의 社會言語學的 硏究. 국어국문학, (168), 123-151.
苗春梅. (2010). 한국 언어 정책의 변화와 한글ㆍ한자의 혼용. 동아한학연구, (6), 309-328.
윤채근. (2018). 한자와 한글의 언어적 차이와 교육적 상보성에 관한 고찰-고전 문어와 현행 구어의 의미론적 攝動을 중심으로. 漢文敎育硏究, (50), 147-170.
이건범, 고성룡. (2018). 초등 교과서 한자 표기가 한자어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글, 79(1), 99-133.
허철. (2018). 지식습득 관점에서 본 한자어교육 논쟁의 해결 방안 연구. 漢字漢文敎育, 1(44), 251-273.